본문 바로가기

K's Story

3개월짜리 어학연수

반응형

3개월짜리 어학연수

시작은 1년짜리 어학연수였다. 정확히 말해 3개월짜리 3개의 Term과 2주짜리 Term break 2개로 이루어진 10개월의 어학연수 계획이었다. 유창한 영어능력을 장착하고 돌아오겠다던 포부를 앉고 떠난 유학길이었다.

 

The most improved Student

호주에서의 둘째날, 첫 등교를 하는 날이었다. 아직도 기억이 어렴풋이 남아있다. 학창시절에, 초중고 모두 같은 학교를 다녔음에도 같이 등교했던 기억이 거의 없는데 이땐 형과 함께 등교를 했다. 버스 한번, 기차 한번, 도보로 20분정도 총 한 시간이상 걸리는 등굣길이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 먼거리를 어떻게 매일 다녔는지 모르겠다.

 

레벨테스트를 하고 AYA (Academic Year Abroad(?)) course에 들어가게 됐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한국인이 9명 대만인이 2명인 class였다. Course 이름에서도 느껴지다시피 academic 한 class였다. 난 일상대화도 되지 않는데 영어로 그런 딱딱한 (사실 비교할 수 있는 게 없었기에 내 느낌일뿐이다.) 수업을 들었어야했다. 아직도 기억이 난다. 첫 수업에 다들 영어로 인사를 하는데 그것조차 할 수 없던 나의 모습. 수업중간에 숙제를 내줬을텐데 무엇을 해야하는지 조차 몰라서 수업이 끝나고난 뒤 항상 한국인에게 살짝 물어보던 나의 모습. 어떤 그룹에서 자신이 열등한 존재라는 걸 느낀다는건 썩 유쾌하진 않았다. 수업시간에 질문을 받고 대답을 못해도 별거 아니라는 듯이 웃어 넘기곤 했지만 스스로에게 매우 화가나는 일이었다. 수업시간엔 뭔가를 보여줄 수 없으니 숙제라도 열심히 해야했다. 그렇게 하루하루 꾸역꾸역 따라가다보니 3개월이 훌쩍 지나있었고 상장을 하나받게 됐는데 그게 The most improved student 상이었다. 가장 성적상승이 큰 학생에게 주는 상장이라고 했다. 시작할 때 꼴등이었을테니 줄만한 상이 이것밖에 없었나보다 라고 민망한듯 말하긴 했지만 내심 뿌듯했다. 그것이 호주와서 처음 맛본 성취감이었다.

 

번호따기(?)

내 기억이 틀리지 않다면 그 때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여자에게 사심을 가지고 번호를 물어본 일이었던 것 같다. 전역한 지 2주만에 어학연수를 오게됐고 나의 열정은 어학에만 국한 돼있지 않았다. 배운 영어를 실전에서 실력발휘를 하고 싶었다 라고 하기엔 좀 궁색한 변명같고 쉬는시간마다 보이던 그 일본 여자애는 이뻤다.

 

그냥 말을 걸고 친구가 되면 될텐데 뭔가 번호를 따야한다는 생각이 있었던 것 같다. 나름 철저하게 준비를 했다. 많은 시나리오를 준비해서 영작을 했고 연습을 한뒤 다가간다. 근데 정작 인사를 하고나니 따 까먹어버렸다. 그냥 내가 했던 말은 폰번호 받을 수 있는지 물어본게 다였다. 그 아이는 상냥하게 웃으며 전혀 문제가 없다는 표정으로 번호를 적어줬다.

 

그 아이는 늘 친절했고 늘 이뻤다. 하지만 그게 끝이었던 것 같다. 서로의 영어능력상 진지한 대화는 오갈 수 없었고 여자로서의 관심은 그렇게 사라졌다. 그냥 그렇게 외국인 친구들중 한명이 됐다.

 

어쨌건 나의 모국어로도 해본적이 없던 번호따기를 그래도 영어로 해봤다는 것에 큰 의의를 둔다.

 

3개월만에 끝난 어학연수

첫번째 Term이 끝이나고 다음 Term이 시작되기전 어학교 Dean 으로부터 이야기를 하나 듣게된다. 물론 난 무슨 이야기인지 제대로 알아들을 수가 없었기에 한국인 중에서 가장 영어를 잘하던 누나가 통역을 해줬다. 학교의 재정문제로 내가 등록을 했었던 course가 사라진다는 얘기였다. 같은 course에 있던 학생들은 개인적으로 Dean 과 대화를 나눠야했다. 내가 듣기로 거의 다 다른 language course로 이동을 했다.

 

내 차례였다. 무슨 생각이 있었는지 모르겠다. 원래부터 계획이 있었던 걸까. 대학을 다니고 싶다고 했다. Dean도 알았고 나도 알았다. Language course도 따라가지 못하는 내 영어실력으로 어떻게 대학에서 공부를 하겠는가. 학교 내 자체 IELTS 시험 같은 걸 보라고 했다. 거기에서 충분한 점수가 나오면 대학에 갈 수 있는 과정에 넣어주겠다고 했다. 읽기와 쓰기는 한국에서도 영어를 오랫동안 공부를 했으니 가능성이 썩 없다고는 생각 안했지만 듣기와 말하기는 설명할 가치도 없는 수준이었다. 아무튼 시험을 치라고 하니 시험을 쳤다.

 

결과는 받질 못했으나 난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했으니 호주 대학에 가기전 year12 과정 (고3 과정)을 받고나면 대학에 들어갈 수 있다고 했다. 아마 시험 결과가 커트라인에 미치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학교에서도 다른 방법이 없었을 것이다. 그렇게 어학연수가 3개월만에 끝이났다.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대학 입학을 일찍 할 수 있다는 사실이 좋은 줄로만 알았다.

반응형